티스토리 뷰
목차
덥고 습한 여름, 에어컨 없이는 버티기 힘든 계절이 왔습니다. 그런데 에어컨을 켰을 때 쿰쿰하거나 비린내가 난다면? 아무리 청소해도 사라지지 않는 그 냄새 때문에 불쾌감이 배가되죠. 최근 SNS와 커뮤니티에서 다시 화제가 된, 냄새를 완전히 없애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꿀팁 하나면 여름 내내 상쾌한 냉방을 즐길 수 있어요.

에어컨에서 나는 냄새, 원인은 무엇일까?
에어컨을 오랜만에 가동하면 퀴퀴하고 비릿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에 남아 있는 수분과 곰팡이, 먼지가 원인이죠. 특히 냉방 후 곧바로 전원을 끄면 내부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냄새가 더 쉽게 배게 됩니다.

실제로 에어컨 냄새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주로 온도 차로 인해 내부에 응축된 물기와 함께 세균이나 냄새 성분이 남아, 다음 사용 시 다시 퍼지게 되는 겁니다.

청소만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화제의 꿀팁! “16도로 1시간 돌리면 냄새가 사라진다?”
이 방법은 2018년 일본 SNS ‘엑스(X)’에서 처음 소개됐습니다. 한 사용자는 “에어컨에서 심한 냄새가 나서 필터까지 다 청소했지만 소용없었다”며, 서비스센터의 조언대로 창문을 열고 16도로 맞춘 후 1시간 동안 가동해봤다고 합니다. 그 결과, 믿기지 않게 냄새가 사라졌다고 하죠.

이후 국내에서도 이 방법을 따라 해 본 사용자들의 후기가 줄을 이었습니다. “꾸리꾸리한 냄새가 없어졌다”, “정말 신기하다”, “에어컨이 새것처럼 상쾌하다”는 반응이 줄줄이 올라오며 실제로 효과가 입증된 방법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 따르면, 이 방식은 일종의 ‘냉방 세척’ 원리를 활용한 것이라고 합니다. 에어컨 내부 열교환기에 수분을 형성시켜 자연스럽게 세척하고, 이후 송풍 모드로 건조해 냄새를 제거하는 방식이죠.
단계별로 따라 하는 냉방 세척법
이 꿀팁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정확한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1. 창문을 모두 열어 환기시킨다.
2. 에어컨 희망온도를 최저(16도 등)로 설정하고,
3. 제습 모드로 1시간 가동한다.
4. 이후 송풍 모드로 1시간 이상 가동하여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 방법은 외부 공기의 습기를 이용해 열교환기를 세척하고, 건조 과정으로 냄새 성분을 날려버리는 원리입니다. 특히 냄새가 심한 경우에는 하루에 1회씩, 5일 연속 실행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평소에도 냉방 후 송풍 모드를 10분 이상 작동하면 냄새가 배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송풍 모드는 실내기만 작동되므로 전력 소모도 크지 않아 경제적이죠.

삼성전자에 따르면, 제습 모드 1시간은 일반 냉방과 비슷한 전력을 소비하지만, 송풍 모드 1시간은 선풍기 2대 수준의 소비전력이라고 하니 부담도 적습니다.
마무리 한 줄 팁
에어컨 냄새, 이제 청소만 하지 마세요. 16도 제습 + 송풍 조합으로 여름 내내 상쾌한 바람을 누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