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덥고 습한 여름, 에어컨 없이는 버티기 힘든 계절이 왔습니다. 그런데 에어컨을 켰을 때 쿰쿰하거나 비린내가 난다면? 아무리 청소해도 사라지지 않는 그 냄새 때문에 불쾌감이 배가되죠. 최근 SNS와 커뮤니티에서 다시 화제가 된, 냄새를 완전히 없애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꿀팁 하나면 여름 내내 상쾌한 냉방을 즐길 수 있어요.

    냄새냐는 에어컨

    에어컨에서 나는 냄새, 원인은 무엇일까?

    에어컨을 오랜만에 가동하면 퀴퀴하고 비릿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에 남아 있는 수분과 곰팡이, 먼지가 원인이죠. 특히 냉방 후 곧바로 전원을 끄면 내부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냄새가 더 쉽게 배게 됩니다.

    청소 전 후

    실제로 에어컨 냄새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주로 온도 차로 인해 내부에 응축된 물기와 함께 세균이나 냄새 성분이 남아, 다음 사용 시 다시 퍼지게 되는 겁니다.

    에어컨 내부 구조

    청소만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화제의 꿀팁! “16도로 1시간 돌리면 냄새가 사라진다?”


    이 방법은 2018년 일본 SNS ‘엑스(X)’에서 처음 소개됐습니다. 한 사용자는 “에어컨에서 심한 냄새가 나서 필터까지 다 청소했지만 소용없었다”며, 서비스센터의 조언대로 창문을 열고 16도로 맞춘 후 1시간 동안 가동해봤다고 합니다. 그 결과, 믿기지 않게 냄새가 사라졌다고 하죠.

    청문열고 16도 맞춰놓기

    이후 국내에서도 이 방법을 따라 해 본 사용자들의 후기가 줄을 이었습니다. “꾸리꾸리한 냄새가 없어졌다”, “정말 신기하다”, “에어컨이 새것처럼 상쾌하다”는 반응이 줄줄이 올라오며 실제로 효과가 입증된 방법으로 알려졌습니다.

    냄새제거중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 따르면, 이 방식은 일종의 ‘냉방 세척’ 원리를 활용한 것이라고 합니다. 에어컨 내부 열교환기에 수분을 형성시켜 자연스럽게 세척하고, 이후 송풍 모드로 건조해 냄새를 제거하는 방식이죠.

    단계별로 따라 하는 냉방 세척법


    이 꿀팁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정확한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창문 열고 16도 맞추고 제습모드

    1. 창문을 모두 열어 환기시킨다.


    2. 에어컨 희망온도를 최저(16도 등)로 설정하고,


    3. 제습 모드로 1시간 가동한다.


    4. 이후 송풍 모드로 1시간 이상 가동하여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 방법은 외부 공기의 습기를 이용해 열교환기를 세척하고, 건조 과정으로 냄새 성분을 날려버리는 원리입니다. 특히 냄새가 심한 경우에는 하루에 1회씩, 5일 연속 실행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여름철 낭방 이미지

    추가로, 평소에도 냉방 후 송풍 모드를 10분 이상 작동하면 냄새가 배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송풍 모드는 실내기만 작동되므로 전력 소모도 크지 않아 경제적이죠.

    무더위 여름철

    삼성전자에 따르면, 제습 모드 1시간은 일반 냉방과 비슷한 전력을 소비하지만, 송풍 모드 1시간은 선풍기 2대 수준의 소비전력이라고 하니 부담도 적습니다.

    마무리 한 줄 팁


    에어컨 냄새, 이제 청소만 하지 마세요. 16도 제습 + 송풍 조합으로 여름 내내 상쾌한 바람을 누려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