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방학의 끝자락에서 시작된 짧고도 반짝였던 우정, 그리고 다시 혼자가 되는 순간. *영화 <우리들>*은 아이들의 세계가 결코 단순하지 않다는 사실을 담담하고도 깊게 그려내는 작품입니다.

    1. 외로움 속에서 피어난 우정, 두 소녀의 첫 번째 ‘우리’


    영화 우리들은 언제나 혼자였던 ‘선’이 방학식 날 전학생 ‘지아’를 만나면서 시작됩니다. 선은 늘 주변과 어울리지 못해 조용히 자신의 자리만 지키는 아이였고, 지아 역시 겉보기엔 당당해 보이지만 마음속에는 어른들 앞에서 말하지 못한 상처가 자리한 아이입니다. 두 아이는 서로의 마음속 비밀을 나누고, 함께 여름을 보내며 자연스럽게 세상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가 됩니다. 특히 골목길을 함께 뛰어가던 장면, 선의 집에서 수박을 먹으며 웃던 순간들은 어른이 되어도 잊히지 않을 ‘순수함의 기억’을 재현해 관객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영화는 이 감정 위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우정이란 ‘둘만 있으면 되는 관계’가 아니라, 결국 다른 세계와 마주해야만 하는 관계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여름방학이 끝나고 다시 학교라는 공간으로 돌아왔을 때, 두 소녀의 세계는 완전히 달라져 있습니다. 아이들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교묘한 따돌림, 인기 많은 아이들 사이의 관계, 말 한마디로 줄이 갈라지는 미묘한 분위기 등은 어른의 눈에도 낯설지 않은 현실입니다. 선은 그 변화 속에서 지아를 놓치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지아는 점점 멀어져만 갑니다. 이 지점에서 영화는 **"어린아이의 상처도 결코 가볍지 않다"**는 메시지를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2. 개학 후 달라진 지아, 관계의 균열이 만들어낸 감정의 폭발


    개학 후 지아는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선 앞에 나타납니다. 방학 때는 선을 가장 잘 이해해주는 친구였지만, 학교에서는 선을 따돌리는 ‘보라’의 편에 서게 됩니다. 이 장면은 관객에게 커다란 혼란과 함께 아이들의 세계가 얼마나 복잡하고 냉정한지 보여줍니다. 지아가 왜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왜 선에게 차가워질 수밖에 없었는지는 영화 전반에서 천천히 드러납니다. 아이들도 인정받고 싶고, 혼자가 되기 두렵다는 사실, 그리고 그 두려움이 때로는 소중한 사람을 밀어내는 행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이 설득력 있게 그려집니다.

    선은 지아를 잃지 않기 위해 여러 번 다가가지만, 상황은 더 나빠질 뿐입니다. 선이 간절할수록 지아는 더 멀어지고, 주변 아이들은 선을 더욱 고립시킵니다. 결국 선 안에 누적된 감정이 폭발해 지아의 비밀을 폭로하는 결정적인 사건이 벌어집니다. 이 장면은 관객에게도 큰 충격을 줍니다. 우정이 깨지는 순간의 잔혹함과 아이가 감당해야 하는 죄책감, 그리고 바로 그 순간 어른이 되어버린 듯한 선의 표정은 이 영화가 많은 관객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 이유이기도 합니다.

    영화는 누군가의 잘못을 단정짓지 않습니다. 선도, 지아도, 그 어떤 아이도 누군가를 상처주기 위해 행동한 것이 아니라, 그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선택했을 뿐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 균형 잡힌 시선 덕분에 우리들은 더 많은 공감과 여운을 남기는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아이들도 상처받는다’는 진실을 가장 솔직하게 보여주는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상처를 통해 성장하는 두 소녀, 아이들의 세계를 바라보는 어른의 시선


    우리들은 단순한 학창시절 이야기나 따돌림 소재의 영화가 아닙니다. 이 영화의 핵심은 아이들만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 그리고 그 세계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치열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데 있습니다. 선과 지아는 상처를 주고받았지만, 그 과정에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성장의 시간을 겪습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두 아이가 보였던 눈빛은 단순한 후회나 미안함이 아니라, **"그때 우리는 최선을 다해 버텼다"**라는 묵직한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감독의 연출 방식 역시 매우 뛰어납니다. 과장 없이 차분한 카메라 워크, 실제 초등학생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 드러나는 감정의 파동들은 오히려 현실감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선과 지아가 마지막으로 마주하는 장면은 말 없이도 많은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어른이 되어도 잊히지 않는 어린 시절의 상처와 미숙했던 우정의 기억, 그 순간들을 누구나 마음속에 떠올리게 만드는 강한 여운을 남기죠.

    한 줄 느낀점


    어린 시절의 상처는 사라지지 않지만, 그 상처가 우리를 어른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해주는 작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