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자 필독! 조선주 상승세, 항공주는 왜 주저앉았나

by 친절한 한나씨 2025. 5. 6.
반응형

최근 발표된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정책이 국내 산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조선업계는 미소를, 항공업계는 우려를 드러내고 있는데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보호무역 강화라는 키워드 아래, 산업 전반의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투자자뿐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중요한 흐름이기에 지금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조선업계, 반사이익 기대에 ‘활짝’

한국 조선산업은 이번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철강과 조선 부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국산 조선 제품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이죠.

이미 LNG선, 초대형 유조선(VLCC)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서 강세를 보이던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대형 조선사는 이번 이슈로 글로벌 발주처들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유럽과 동남아 일부 국가는 중국 대신 한국 조선소와의 협력 확대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도 있습니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글로벌 흐름과 맞물려, 한국 조선업은 다시금 국제 무대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흐름에서도 이를 반영하듯 조선주는 점진적인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항공업계, 부품 가격과 수익성 ‘이중고’

반면 국내 항공업계, 특히 "저비용 항공사(LCC)"들은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해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항공기 제작과 유지에 필요한 부품 중 상당수가 중국산인데, 이번 조치로 부품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이미 연료비 부담과 엔화 약세로 원가 구조에 압박을 받고 있던 항공사들 입장에서는, 부품 수급 지연과 비용 증가가 실적 악화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LCC는 공급망 불안과 중국 노선 회복 지연 등의 이슈로 주가 하락세를 겪고 있는 중입니다.

단, 대한항공 등 대형 항공사의 경우 장거리 노선 회복과 국제선 수요 증가로 부분적인 실적 개선 흐름도 나타나고 있어, 항공업 전반을 일괄적으로 '부정적'으로만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 주목해야 할 변화

최근의 산업 흐름은 단순히 '조선은 웃고, 항공은 울고'라는 말로 요약되기보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가 실제 업종별 영향을 미치는 사례로서 읽혀야 합니다. 특히 투자자라면 업종별 주가 흐름을 세밀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향후 항공 운임 변화나 수출입 영향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이 흐름을 정확히 읽는 자만이, 다음 기회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