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광고 없는 유튜브를 더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열릴까?
    유튜브가 새로운 구독 서비스인 ‘프리미엄 라이트’ 요금제(월 8,500원) 출시를 앞두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 유튜브 프리미엄의 가격 부담으로 망설였던 사용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인데요. 이번 요금제는 영상 광고 제거 기능은 유지하면서, 음악 스트리밍 기능은 제외된 요금제로, 보다 단순하고 저렴한 구독 옵션을 원하는 이용자를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 새로운 요금제 출시

    기존 유튜브 프리미엄보다 약 56% 저렴


    공정거래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구글은 올해 안으로 광고 없는 유튜브 이용이 가능한 ‘프리미엄 라이트’ 요금제를 국내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요금은 월 8,500원(안드로이드·웹 기준), iOS 기준 월 1만 900원으로, 기존 프리미엄 상품(안드로이드 기준 1만 4,900원, iOS는 1만 5,000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입니다.

    기존 유튜브 프리미엄보다 약 56% 저렴

    다만 가격이 낮아진 대신, 프리미엄에서 제공되던 유튜브 뮤직 사용 권한이 제외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즉, 이번 라이트 요금제는 단순히 유튜브 영상에서 광고 없이 시청할 수 있는 기능만 포함된 셈입니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핵심 기능인 백그라운드 재생, 오프라인 저장 기능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i 생성 이미지

    구독자 입장에서는 “음악은 굳이 유튜브 뮤직이 아니어도 된다”거나 “그냥 광고만 제거되고 좀 싸면 좋겠다”는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이번 라이트 요금제는 상당한 반응을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 뮤직 사용자 압도적 1위… 음악 제외, 괜찮을까?


    시장조사 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국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앱 사용자 수는 유튜브 뮤직이 982만 명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서 멜론(654만), 스포티파이(359만), 지니뮤직(263만), 플로(175만)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AI 이미지

    이처럼 유튜브 뮤직의 이용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라이트 요금제에서 음악 서비스가 빠졌다는 점은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측은 “프리미엄의 핵심 사용층 중 상당수는 영상 위주로만 사용한다”는 분석을 바탕으로 분리형 요금제를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폰 유튜브 AI 생성 이미지

    또한, 공정위는 “음악 서비스와 영상 광고 제거 기능을 분리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르면 하반기 출시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현재는 공정위 심의가 잠정적으로 동의된 상태이며, 향후 최종 승인만 남은 상황입니다.

    어떤 요금제가 나에게 맞을까?


    그렇다면 기존 프리미엄과 라이트, 어떤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래 기준으로 간단히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요금제

    만약 음악까지 유튜브 뮤직으로 듣고 싶고, 한 계정으로 여러 디바이스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기존 프리미엄이 더 적합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광고 없는 유튜브 영상 시청만 원한다면, ‘라이트’ 요금제가 가성비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한 줄 느낀점


    유튜브가 선택지를 더 늘린 만큼, 이제는 내 시청 습관에 따라 더 똑똑하게 요금제를 고를 수 있는 시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