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년 전 8.8만 삼성전자…다시 반등할까?
2023년 7월 11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한때 8만8800원까지 치솟았지만,
같은 해 11월에는 4만9900원까지 내려가며 많은 투자자들의 가슴을 졸이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재용 회장의 무죄 확정 소식과 함께 주가가 다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재용 무죄 확정…사법 리스크 완전 해소
2024년 7월 17일, 대법원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무죄를 확정했습니다.
그동안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등으로
4년 10개월에 걸쳐 이어진 재판이 종결되면서,
시장에서는 '사법 리스크 해소'라는 해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무죄 확정 이후,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각각 5254억, 1238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흐름은?

7월 18일 오전 11시 기준, 삼성전자 주가는 6만7000원을 기록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 올해 최고가 갱신(6만7800원)까지 이루었습니다.
거래량 역시 크게 증가하며 투자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반등 이유는? ‘AI + HBM3E + 엔비디아 기대감’
이번 상승세에는 단순한 이슈 소멸 외에도
AI 반도체 경쟁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HBM3E(고대역폭 메모리) 개발 진척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고객사 인증 기대
씨티그룹, 목표주가 상향 조정
미래에셋 “긍정적 흐름 기대” 보고서 발간

삼성전자는 지난해 HBM 경쟁에서 SK하이닉스에 밀렸지만,
최근 HBM3E 12단 제품의 양산 능력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용 AI 반도체 ‘H20’ 공급도 재개될 수 있다는 소식은 추가 호재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최근 상승은 기술적 반등 + 기대감 반영의 초기 단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주가가 단기간 급등한 만큼,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하세요.

과열 구간 아님 – 분할매수 전략 유효
실적 발표 시기(3분기) 전후 변동성 가능성 주의
HBM3E 양산, 인증 결과에 따라 재평가 가능성
마무리
“삼성전자는 다시 8만 원을 향해 갈 수 있을까?”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요금제 나온다|월 8,500원, 광고 없이 보는 유튜브의 등장 (1) | 2025.07.17 |
---|---|
상속세 완화 논의 본격화?|한국 상속세, 과연 바뀔 수 있을까 (1) | 2025.07.16 |
2025 하반기 금리 전망|한은 통화정책과 부동산 흐름 정리 (2) | 2025.07.14 |
SKT 고객 혜택 정리|스타벅스 무료·통신요금 50% 할인까지! (3) | 2025.07.14 |
퇴직연금도 ETF로! 6월 은행 ETF 판매 1.7조 돌파한 이유는? (1)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