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하루 330원으로 집을 빌릴 수 있다면 믿어지시나요? 인천시에서 시작된 천원주택(월 임대료 3만원) 사업이 전국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포항과 제주, 전남까지 확대되며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정책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천원주택의 탄생 배경과 전국 확산 현황, 그리고 실제 지원 방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신혼부부 주거비

    인천에서 시작된 천원주택, 전국 지자체로 확산


    인천시는 2023년 처음으로 천원주택 정책을 도입하며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월 임대료가 단돈 3만원, 하루로 따지면 천 원 꼴에 불과해 ‘천원주택’이라 불리는데요. 신혼부부와 청년 세대의 주거 안정과 저출생 문제 대응을 목표로 추진되었습니다.

    인천 천원주택

    올해 7월 인천시는 1000호 규모(매입임대 500호 + 전세임대 500호)의 천원주택 입주를 시작했으며, 경쟁률은 7.3대 1에 달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신혼부부들은 월세 부담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천 공공임대주택

    유정복 인천시장은 “저출생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한 천원주택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어 기쁘다”며 “정부가 국가 정책 차원에서 천원주택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에서의 성공적인 모델이 포항과 제주, 전남으로 이어지며 전국적 확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 임대주택 인천

    포항과 제주, 지역 맞춤형 주거정책으로 진화


    경북 포항시는 지난 9월, 청년·신혼부부 대상 천원주택 100호 공급에 나섰습니다. 입주 신청에는 무려 854명이 몰려 8.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요. 특히 청년 물량 80가구에는 820명이 신청해 10.3대 1의 치열한 경쟁을 보였습니다. 포항시 천원주택은 LH 소유 다가구 주택 공실을 월 17만원 안팎에 임대해, 신혼부부와 청년에게 월 3만원에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입주자는 2~4년간 거주할 수 있고, 매년 100호씩 추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포항 청년 임대주택

    제주도는 조금 다른 접근을 택했습니다. ‘3만원 주택’이라는 이름으로, 기존 LH·제주개발공사의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임대료를 월 15만원 안팎에서 3만원으로 낮추는 방식입니다. 제주도는 신혼부부와 7세 이하 자녀 양육 가구를 대상으로 올해만 850세대 지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도가 나머지 비용을 지원해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제주 3만원 주택

    이처럼 포항과 제주는 인천 모델을 벤치마킹하면서도 지역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내놓으며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제주 공공임대주택

    전남의 만원주택, 하루 330원 시대 열리다


    전라남도는 더 파격적인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바로 **‘만원주택’(월 임대료 1만원)**인데요. 이는 하루 330원 꼴로 계산되어, 사실상 전국 최저 수준의 임대료입니다. 전남도는 신혼부부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도읍, 고흥읍, 신안 앞해읍, 보성 벌교읍 등에서 임대 아파트를 건설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전남 만원주택

    진도읍 임대주택(60가구)은 올해 4월 이미 착공해 내년 6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앞해읍 주택(50가구)도 착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부지는 기초 지자체가 제공하고, 건축비와 운영비는 전남도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추진됩니다. 전남도는 이미 곡성, 강진, 영암, 장흥에서도 만원주택 공급을 준비 중입니다.

    진도 신혼부부 임대주택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해 천원주택보다 먼저 만원주택 계획을 발표했지만, 건설 일정상 입주는 내년부터 가능하다”며 전남형 초저가 임대주택 모델을 강조했습니다. 이로써 전국 청년·신혼부부에게 주거비 부담을 혁신적으로 낮추는 다양한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한 줄 평


    천원주택, 만원주택, 3만원 주택은 단순한 임대주택이 아니라, 청년과 신혼부부의 삶을 바꾸는 대한민국 주거 정책의 새로운 시작점입니다.


    반응형